안녕하세요 호선생입니다.
식품공전 미생물시험법
바실루스 세레우스 (Bacillus cereus) 정성 시험법을 정리해볼까 합니다.
보시는 시기에 따라 새로운 시험법이 추가됐을 수 있으니,
참고용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
바실루스 세레우스 (Bacillus cereus)
*분리배양
검체 25 g 또는 25 mL를 225 mL 희석엑을 가 후, 균질화를 한 시험용액을
MYP Agar (30℃, 24 h) 또는 PEMBA Agar (37℃, 24 h)에 접종 하여 배양
❗바실루스 정성시험은
증균배양 과정없이 바로 분리배양을 진행합니다.
검체를 넣지않은 동일 희석액을 대조시험액(블랭크)으로 시험조작의 무균여부를 확인
*성상
MYP Agar:
혼탁한 환을 갖는 분홍색 집락
PEMBA Agar:
혼탁한 환을 갖는 청녹색 집락
*확인시험
step 1.
전형적인 집락을 선별하여 보통한천배지(NA Agar)에 접종 후 배양
(30℃, 24 h)
step 2.
그람염색을 실시하여 포자를 갖는 그람양성 간균을 확인
확인된 균은 nitrate 환원능, VP, β-hemolysis, tyrosine분해능,혐기배양시의 포도당 이용등의
생화학시험을 실시
β-hemolysis는 BPA에 진행하고, 나머지 생화학 시험은 API 50CH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실험실이 많습니다.
*성상
β-hemolysis:
β-hemolysis용혈대 형성
❗매우 뚜렷하고 굵은 용혈대를
형성합니다
API 50CH:
동정결과
VERY GOOD IDENTIFICATION
Bacillus cereus 1 (99.6%)로 동정됐지만, 참고사항을 확인해 보시면
Bacillus thuringiensis일 가능성이 있기에 곤충독소 생성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주어야합니다.
step 3.
30℃, 24 배양 후, 상온, 2∼3일로 추가 배양하여 곤충독소단백질 (Insecticidal crystal protein) 생성여부 확인
곤충독소단백질은
Bacillus cereus와 Bacillus thuringiensis를 구분하는 시험법이며,
두 균주는 생화학 특징이 동일하기 때문에 곤충독소 생성여부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.
주로) 직접 또는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
*성상
Bacillus cereus:
곤충독소 생성 X
긴모양의 사슬형태
Bacillus thuringiensis:
곤충독소 생성 O
사슬형태가 끊어짐
❗Bacillus cereus의 경우
곤충독소가 관찰되지않고, 긴 사슬형태를 유지하고있습니다.
증균과정이 없어서 시험의 진행은 매우 수월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지만, 확인시험으로 넘어가면
곤충독소 보다가 눈빠질 거 같은 바실루스... 다들 항상 음성이길 바라면서 실험하시고 계시죠?😭
다른 식중독균 시험법도 보고가세요 :)
[식품공전] 황색포도상구균 미생물 시험법(Staphylococcus aureus)
[식품공전]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미생물시험법(Listeria monocytogenes)
'미생물 실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식품공전]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미생물시험법(Listeria monocytogenes) (0) | 2021.04.22 |
---|---|
[식품공전]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미생물시험법 (Clostridium perfringens) (0) | 2021.04.01 |
[식품공전] 살모넬라 미생물시험법 (Salmonella spp.) (0) | 2021.03.30 |
[식품공전] 황색포도상구균 미생물 시험법(Staphylococcus aureus) (0) | 2021.03.28 |
[식품공전] 비브리오 미생물 시험법 (feat. 장염, 패혈증, 콜레라) (0) | 2021.03.27 |
댓글